세상을 보는 힘, 당신의 관찰력을 길러라. 관찰력이 뛰어나거나 세상의 사물을 유심히 보는 사람들에게 성공의 기회가 다른 사람들보다는 많이 찾아오는 법이다. 바로 이 세상에 존재하는 사물이나 사람들에게서 성공의 열쇠가 있는 것이다.
- 오늘을 사는 지혜, 박정수
관찰의 힘
언젠가 코난 도일의 셜록 홈스를 읽다가 한 구절이 눈에 들어왔다. 대략 이런 내용이었다.
어느 날 아침, 처음 보는 한 의뢰자가 홈즈의 사무실에 들어선다. 사무실에는 홈즈와 그의 친구 왓슨이 있었다. 홈즈는 그 손님이 어느 지방 출신이고 지금은 어디서 왔는지 그리고 직업은 무엇인지 등을 이야기한다. 의뢰자는 홈즈의 말이 맞다며 놀라워한다. 그리고 홈즈와 이야기를 나누고 떠났다.
그 사람이 사무실을 떠난 후 왓슨이 놀라워하며 홈즈에게 묻는다.
"나와 자네는 같은 걸 보았는데 어떻게 자네는 그 사람에 대해 그렇게 알아낼 수가 있었나? 나는 전혀 모르겠던데."
그러자 홈즈가 대답한다.
"자네는 보았지만 나는 관찰했다네."
그렇다. 관찰하면 더 많은 걸 알 수 있다. 관찰의 힘은 생각 이상으로 클 수 있다. 홈즈의 예리한 추리 능력도 그 바탕은 관찰에 있었다.
연구실에서 실험에 몰두하는 연구원이 관찰을 하지 않는다면 아무 성과도 올리지 못할 것이다.
시험공부를 하는 학생이 교과서를 열심히 관찰하지 않으면 낙방하게 될 것이다.
누군가를 짝사랑하는 사람이 상대를 관찰하지 않는다면 상대의 사랑을 얻지 못할 것이다.
무엇엔가 투자를 하는 사람이 투자 대상을 관찰하지 않는다면 그 대상을 얻지 못할 것이다.
그렇다. 모든 성과의 밑바탕에는 대상에 대한 치밀한 관찰이 있다. 추리와 예측, 계획 등은 치밀한 관찰의 토대 위에 세워질 수 있다. 분석한다는 것은 곧 관찰 없이는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분석이 관찰이고 관찰이 분석이다. 관찰의 힘은 크다. 성공의 열쇠는 관찰의 힘에 있을 것이다.
관찰력을 길러라
“난 특출 나게 똑똑한 것도 태어날 때부터 천재였던 것도 아니다. 단지 항상 호기심이 매우 강했을 뿐이다.- 알버트 아인슈타인"
그러면 어떻게 관찰력을 기를 수 있을까? 관찰력이 있어야 좋은지는 누구나 알고 있다. 그러나 선천적으로 관찰력이 좋지 않은 사람에게 관찰이 중요하다고 말해야 무슨 소용일까?
관찰력을 기르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시간에 알아보도록 하자.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회보다는 반성을 (0) | 2022.11.16 |
---|---|
겸손, 가장 중요한 성품 (0) | 2022.11.15 |
혈루증 여인 이야기 (0) | 2022.11.09 |
아라크네 교만의 대가 (0) | 2022.11.04 |
변화를 두려워하지 말라 (0) | 2022.11.03 |
댓글